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살/극단적 선택]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을까?

by 정보 리뷰 2022. 11. 12.

오늘은 극단적 선택이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을까?라는 내용입니다. 한 번의 잘못된 판단으로 소중한 생명이 하루 아침에 이슬처럼 사라진다면 너무 안타깝습니다. 

 

 

[자살/극단적 선택]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을까

OECD 자살률

우리나라는 OECD 38개국(2022.11월 현재) 가운데 2003년부터 2016년까지 자살률이 1위였다가 2017년 2위 그리고 2018년 다시 1위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 자살률은 일본보다 1.5배 높고 중국, 홍콩, 폴란드, 미국보다는 2배 높다. 바레인과 그리스보다는 10배가 높다. 10대와 30대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다. 전 연령층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80대로 나왔으며 자살 시도는 20대가 가장 높다. OECD가 아닌 전 세계적으로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2021년 세계 4위로 나타났다. 성경을 통해 바라본 극단적 선택에 대한 안타까운 견해를 말하고자 한다. 

 

살인하지 말찌니라

살인하지 말찌니라

[출애굽기 20장 13절]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지은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남의 물건을 훔친 사람일까? 아니면 거짓말로 남을 속인 사람일까? 어떠한 죄를 범했는가에 따라서 죄의 무게는 달라질 것이다.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용서받을 수 없는 가장 큰 죄는 무엇일까? 다른 표현으로 한다면, 용서해줄 수 없는 죄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다른 사람의 고귀한,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사람일 것이다. 다른 사람의 고귀한,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사람을 뭐라고 부르는가? 바로 살인자라고 부른다. 살인자를 환영해주는 곳은 없다.

 

그럼 남의 생명을 해안 사람만 살인자인가? 아니다. 사람은 저마다 고귀한, 소중한 생명을 부여받았다. 그 누구도 함부로 할 수 없다. 그런데 그 고귀하고 소중한 생명이 자신의 것이라고 해서 자신의 마음대로 인위적으로 생명을 마감할 수 있는가? 아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다른 사람의 생명을 앗아간 사람을 살인자라고 부른다. 그렇듯 자신의 생명을 자신이 앗아간 사람 역시 뭐라고 부르는 것이 맞겠는가? 살인자이다. 타인이든 자신이든 사람의 생명을 해한 사람은 살인자가 되는 것이다. 극단적인 선택을 통해서 스스로가 살인자가 되겠는가? 자신의 생명을 해할 용기가 있다면 앞으로 삶을 살아갈 용기는 없는가? 어떤 심리적인 억압과 압박, 결박과 현실적 고통 속에서 해방되는 최선의 방법은 극단적인 선택이 아니다.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나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문제를 놔두면 더 큰 문제가 생긴다는 것은 모두 아는 사실이다. 

 

 

 

 

죽음 이후의 세계

성경은 죽음 이후에 대해서 이렇게 말해주고 있다.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

[히브리서 9장 27절]

 

사람이 죽으면 모든 게 끝나는 것이 아니다. 죽음 이후에 심판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람들은 성경말씀에 '살인하지 말찌니라' 라는 말씀을 범했다. 그러므로 살인자가 되는 것이다. 과연 자신을 살해한 살인자가 심판을 피할 수 있을까?

 

  • 살인자는 둘째 사망으로
그러나 두려워하는 자들과 믿지 아니하는 자들과 흉악한 자들과 살인자들과 행음자들과 술객들과 우상 숭배자들과 모든 거짓말 하는 자들은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예하리니 이것이 둘째 사망이라

[요한계시록 21장 8절]

 

살인자들은 결단코 심판을 피할 수 없다. 살인자들은 결단코 천국에 갈 수 없고 불과 유황으로 타는 못에 참예하게 된다. 육체의 죽음은 첫째 사망에 해당하지만 심판받는 영혼은 둘째 사망에 해당이 된다. 그러므로 극단적인 선택을 통해서 현재의 삶을 벗어나는 것은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이 될 수 없다. 때로는 거칠게, 때로는 유연하게, 때로는 침묵하며, 때로는 할 말 하며 자신 있게, 용기 있게 그 문제에 부딪쳐보자. 생각을 바꿔보라. '자살'이라는 단어를 뒤집어 보자. '살자'가 된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더라도 생각을 뒤집어보면 답이 보일 때가 있다. 시간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사방이 막혀있다고 탈출구가 없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위를 보라)

 

타인에 의해 내 삶이 지배당하는 것이 아닌, 내 자신 스스로가 내 삶을 지배하는 자가 되자.

 

[극단적인 선택/자살에 대하여] 자살할 용기가 있다면 삶을 살아갈 용기를 가져라/탈출구는 없는

자살의 이유는 여러 가지다.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경제생활 문제, 육체적 질병 문제, 가정 문제, 직장 또는 업무상의 문제, 남녀 문제, 사별 문제 , 학대 또는 폭력 문제 등이 있다. 1. 정신적·

gominppogegi.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