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용돈에 대해서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아마 없을 것이다. 누구나 고민하는 내용이다. 미혼일 때도, 결혼해서도 말이다. 오늘은 부모님 용돈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
부모님 용돈 고민. 행복인가?, 스트레스인가?
용돈을 바라는 부모가 있고 용돈을 바라지 않는 부모가 있다.
부모라고 다 똑같지 않으니까 말이다.
부모님 용돈을 드리는 문제로 고민에 빠져본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지금 이 시간에도 부모님 용돈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미혼자이든 기혼자이든 말이다.
고민한다는 것은 행복하지 않다는 것이다.
행복하지 않다는 것은 마음에 짐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효도는 기쁨으로 하는 것이지 억지로 하거나 형편이 어려운데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부모님께 용돈을 드려야 효도하는 것이고 드리지 않으면 불효하는 것인가!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는 게 당연한가?
그럼 부모님께 용돈을 얼마를 드리는 것이 적당할까?
사실 적당한 금액은 없다.
그리고 부모님께 용돈을 드려야 할 의무도 없다.
부모님 용돈을 매달 드리는 사람이 있고 경조사나 특별한 날에만 드리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전혀 드리지 않는 사람도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부모님께 매달 드리는 용돈으로는 보통 10만 원 - 50만 원이고 경조사나 특별한 날은 30만 원 - 50만 원을 평균적으로 드린다고 한다.
결혼해서도 양가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는 경우도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보통 양가 부모님께 10만 원 - 50만 원 정도 드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님 용돈은 사람마다 경제적 여건과 가치관에 따라 다르다.
부모님께 용돈을 드리는 이유가 지금까지 키워주셨으니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자식으로서 부모에게 당연히 해야 되는 도리라고도 말한다.
그렇지만 당연한 것은 없다.
그런 이유에서 부모님께 용돈을 드린다면 자식이니까, 부모로서 낳았으니 자립할 수 있도록 경제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그리고 부모니까, 자식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물질적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논리가 형성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당연한 것은 없다는 것이다.
부모님 용돈으로 지출되는 금액은 얼마인가?
만일 미혼일 경우 한 달에 부모님께 20만 원씩을 드린다면 1년에 240만 원이 지출되는 것이다.
만일 기혼일 경우 한 달에 양가 부모님께 20만 원씩을 드린다면 1년에 480만 원이 지출되는 것이다.
거기에 경조사나 특별한 날까지 챙겨드린다면 그 금액은 더 올라갈 것이다.
본인이 한 가정을 이루고 있다면 부모님 용돈을 언제까지 감당할 수 있겠는가?
부모님께서 섭섭하실 수 있겠지만 용돈 드리는 문제는 잘 생각해 봐야 한다.
사람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것 중에 하나가 부모님 용돈 드리는 문제이다.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은 할 수 없이 한다는 의미가 된다.
물론 부모님께 감사하는 마음에서 하시는 분도 많이 계실 것이다.
그러나 부모님 용돈 드리는 문제로 80% 이상의 사람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명절과 어버이날이라고 한다.
본인들도 여가비, 외식비, 보험비, 각종 세금 등등 나갈 돈들이 많다.
여기에 생각지 못한 지출과 대출금까지 매달 나간다면 얼마나 빠듯하겠는가!
정작 돈이 필요할 때 어떻게 할 것인가?
용돈을 받기만 했던 부모님이 과연 도와줄 것인가?
아직 부모님이 젊으시다면 일할 수 있고 경제적으로 생활하기 어렵지 않다고 본다.
그런데 내심 용돈을 요구하시는 부모님도 계신다.
요즘은 국민연금, 기초 노령연금(재산 기준에 따라) 등을 받을 수 있고 노인 일자리나 다른 활동들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정말 부모의 경제적 여건이 워낙 좋지 않다면 모르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정말 생각을 잘해봐야 한다.
만일 부모님 용돈 드리는 문제로 고민을 한다면 아래 블로그 내용을 클릭해서 참고해 보시길 바란다.
부모님 노후 준비
부모님 노후가 걱정이 된다면 참고적으로 2가지만 말씀드리는게 좋을 것 같다.
1. 부모님 소유의 주택이 있다면 노후자금으로 주택을 담보로 주택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신청한다.
2. 부모님 소유의 토지가 있다면 토지를 담보로 토지 연금(농지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신청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자녀들이 부모의 경제적 짐을 부담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 스스로가 노후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드릴 수 있다.
주택연금이나 토지 연금(농지연금)을 기관에 신청하면 심사를 통해서 일정 년수 동안 매달 일정 금액을 연금식으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알아보시면 반드시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