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사람이라면 걱정을 하며 산다. 걱정하지 않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다. 걱정을 하게 되면 또 다른 걱정을 하게 된다. 그래서 걱정은 악 순환이 된다. 악순환이 되다 보면 걱정에 사로잡혀 걱정만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걱정을 버리는 방법은 없을까?
걱정
"걱정의 40%는 절대 현실로 일어나지 않는다.", "걱정의 30%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것이다.", "걱정의 22%는 사소한 고민이다.", "걱정의 4%는 우리 힘으로 어쩔 도리가 없는 일에 대한 것이다." 어니 J. 젤린스키의 [모르고 사는 즐거움]에 나오는 말이다. 이 책에서 알려주듯이 우리가 하는 걱정의 96%는 불필요한 걱정에 불과하다. 그 일이 발생하거나 일어나지 않는 걱정이다.
"걱정거리의 90%는 일어나지 않는다." 브렌다 쇼샤나의 [걱정 버리기 연습]에 나오는 말이다.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걱정거리 90%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걱정은 90% 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우리가 해결해야 할 걱정은 따지고 보면 4%도 안 되는 것이다.
4%의 의미
4%의 의미를 보면, 100가지 걱정 중에 4개, 50가지 걱정 중에 2개, 25가지 걱정 중에 1개, 10가지 걱정 중에 0.4개이다. 수만 가지 걱정을 가지고 매일 사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결국 걱정되는 일이 일어난다고 해도, 걱정이 되는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은 자신이 아직 경험하지 못한 일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있다. 그것을 우리는 걱정이라고 한다. 사람 때문에 걱정, 돈 때문에 걱정, 건강 때문에 걱정, 가족 때문에 걱정, 회사 일 때문에 걱정, 사랑 때문에 걱정, 친구 때문에 걱정 등 다양한 걱정들이 있다. 이런 다양한 걱정들에 대해서 나는 어떠한 마인드를 가져야 할까?
적정하는 일
- 내가 걱정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걱정의 96%는 발생하거나 일어나지 않을 불필요한 걱정이다. 그러니 '일어나지 않을 거야'라는 마인드를 갖자.
- 내가 걱정하는 일이 어떻게 되는지 판단하지 말고 지켜보자. 내가 걱정하고 있는 일에 대해서 미리 '이렇게 될 것이다, 저렇게 될 것이다.' 판단하지 말기를 바란다. 그 일이 어떻게 흘러갈지는 아무도 모른다. 보통은 내가 걱정한 대로 일은 진행되지 않는다.
- 될 대로 돼라. 내가 손쓸 수 없고 불가항력적이라고 생각하는 걱정은 포기해버려라. '그냥 될 대로 돼라', '어떻게든 되겠지'라고 생각하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
-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만일 내가 걱정한 일이 그대로 현실이 되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때는 그냥 쿨하게 받아들이면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자.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걱정 버리기/걱정 이겨내기/걱정하지 않는 법/일어나지 않는 걱정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