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교하는 습관] 다른 사람과 비교/비교하는 삶

by 정보 리뷰 2022. 10. 2.

천칭-저울

다른 사람과 나를 비교하는 습관은 절대 행복한 삶으로 나를 이끌어주지 못합니다. 절대적인 행복은 타인의 삶과 나의 삶을 구분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기쁨입니다.

◆ Question

저는 제 성격이 너무 싫어요.

한심하다고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왜? 저만 못나 보이지요.

주변에 있는 친구들은 다 잘나 보이고 저와 비슷하다고 생각이 들던 친구들도 어느새 저 보다 더 성장되어 있어요.

저만 제자리걸음을 하는 것 같아서 이제는 너무 짜증이 나요.

제가 노력을 안 하는 것도 아닌데, 그에 비해 성과가 나지 않는 것 같아요.

저의 방법이 잘 못 된 걸까요?

아니면 저의 성격이 원인일까요?

무엇이 문제인지 답을 찾지 못하겠어요.

저의 이 답답한 마음을 누구에게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너무 슬퍼지네요.

◆ Answer

내담자님께서 노력한 만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고 다른 사람보다 뒤처지고 있다고 생각 들어서 불안한 것 같아요.

그러다 보니 성격이나 노력하는 방법 등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 같아요.

자신이 생각한 대로 되지 않으면 많이 답답하기는 해요.

더군다나 속마음을 이야기할 상대가 없으니 더 그러실 것 같아요.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는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

내담자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성격적인 문제는 없어 보여요.

성격이 못나 보이지도 않아요.

단지, 내담자님이 슬퍼지는 이유는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과 나를 비교하게 되면 나는 한 없이 못난 사람이 되고 말아요.

나는 나일뿐입니다.

지금 주변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 '나는 못났어"라고 말하고 있고

또한, 비슷한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도 '나는 성장을 못하고 있어'라고 말하고 있어요.

성장의 기준을 스스로에게서 찾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그 기준을 찾는 것이지요.

다른 사람과 나를 비교해서는 결단코 행복해질 수 없어요.

그리고 그런 고민에서 자유롭게 될 수도 없어요.

만약 어떤 엄마가 자신의 자녀에게 이렇게 말한다면 어떤지 느껴보세요.

엄마가 "00 친구는 이번에 수학 100점을 맞았어, 그리고 장학금도 받고 상도 받았더라

너는 수학 몇 점 맞았니? 장학금도 못 받고 상도 못 받았으면 다른 공부라도 잘해라"라고 말한다면 어떤 느낌이 드세요?

 

아마 기분이 좋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과 비교를 했기 때문이지요.

00 친구는 수학을 100점 맞고, 장학금도 받고, 상도 받았습니다.

그래서 잘난 것이고

자녀는 수학 점수도 낮고 장학금도 못 받고 상도 못 받아서 못난 것일까요.

내담자님께서는 어떻게 생각을 하세요?

다른 사람과 비교해가며 자녀를 판단하는 것이 맞을까요?

다른 사람과 비교해가며 자녀를 깎아내리는 것이 맞을까요?

 

"다른 사람이 나의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누군가와 나를 비교해서 판단하면 안 됩니다.

다른 사람의 기준에 나를 맞추면 안 됩니다.

그 사람은 그 사람이고 나는 나일뿐입니다.

그 사람은 그 사람이 가진 재능이 있는 것이고 나는 내가 가진 재능이 있는 것입니다.

'난 재능이 없는 것 같아요'라고 생각한다면?

아닙니다.

그 재능을 아직은 찾지 못한 것일 뿐이고 찾는 과정 중에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내담자님께서 힘들어하고 마음 아파하고 속상해하고 기분도 우울하고 짜증이 나는 것은 남과 나를 비교하기 때문입니다.

행복은 스스로에게 만족할 때 찾아옵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는 행복을 찾을 수 없어요.

이제는 남과 비교하기보다는 스스로에게 힘과 용기를 주기를 바라요.

 

"자존감 높이기"

한번 이렇게 해보세요.

두 손으로 자신의 몸을 안아주세요.

천천히 위아래로 쓰다듬어 주세요.

그리고 이렇게 말해보세요.

"너는 참 잘하고 있어, 절대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마, 너는 다른 사람과 달라,

너는 참 잘났어, 너는 참 똑똑해, 나는 이 세상에서 너를 가장 사랑해"라고

말하면서 스스로에게 힘과 용기를 주시기 바랍니다.


https://gominppogegi.tistory.com/42

 

[자존감/자신감]자신을 강하게 만드는 자존감(자신감) 높이는 방법

사랑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 자식의 부모에 대한 사랑. 친구와의 사랑. 연인과의 사랑 등등 사랑으로 많은 것을 나열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사랑의 대상" 그런데

gominppogegi.tistory.com

 

https://gominppogegi.tistory.com/32

 

[인정받고 싶은 마음/욕구] 노력해도 안돼요. 너무 부족해요.

◆ Question 저는 노력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노력함 만큼의 결과가 나오지 않아요. 제가 일하는 방향이 잘못된 것일까요? 다른 사람들은 열심히 하는 것 같지 않은데, 저보다 결과가 더 좋

gominppogegi.tistory.com

 

댓글